본문 바로가기
생활 정보

월급 실수령액 늘리기 (소득세 원천징수세액 선택, 조정)

by 사계절닷컴 2023. 2. 3.

안녕하세요!

1년 365일, 제철 상품을 판매하는

사계절닷컴☘️입니다.

 

 

다들 연말정산은 잘 마무리하셨나요?

연말정산은 ‘13월의 월급’이라고도 하죠. 💸

 

 

세액공제, 소득공제 금액에 따라 돌려받기도

뱉어 내기도 합니다. 많이 받게 되면 괜히

기분이 좋아지죠ㅎㅎ 🤑

 

 

여러가지 테크닉이 있지만 이번에는

월급을 조금 더 받을 수 있는 방법에

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!

원천징수 제도

모든 근로자는 원천징수 대상입니다.

 

 

원천징수란 근로자의 원천세를 사업자가

근로자의 급여에서 먼저 제한 후 국가에

대신 납부하는 제도인데요.

 

 

원천징수는 100% 정확하게 이뤄지는 것은

아닙니다.

 

 

‘대략 이 정도 월급이면 이만큼 걷어 가면 되겠지’

라고 가정하고 원천징수를 합니다.

 

 

대략 걷은 후 연말정산을 통해 더 많이

가져 갔다면 돌려주고 덜 걷었다면 더

가져가는 건데요.

 

 

이 때 원천징수세액 조정이라는 제도를 통해서

원천징수로 가져가는 세액을 직접 조정 

있습니다.

원천징수 세액조정 신청서를 작성하여

회사에 제출하면 끝입니다.

 

 

따로 신청을 하지 않았다면 기본적으로

100%로 되어 있습니다.

 

 

만약 120%를 선택한다면 통상 내가 받는

임금 수준에서 내는 세금보다 더 많이

내겠다는 뜻입니다.

 

 

대신 많이 낸 세금은 연말정산 때 환급을

받습니다.

 

 

반대로 80%를 선택한다면 기존에 내던

세금보다 적게 내게 되고 연말정산에 덜 낸

세금을 내야 합니다.

 

 

80%를 선택하면 덜 낸 세금만큼

월급이 조금 더 들어오고 은행 이자만큼

이득을 볼 수 있습니다.

예를 들어 내야 할 세금이 원래 10만원인데

80%를 선택하면 8만원을 내게 됩니다.

그럼 매 월 2만원을 더 받게 되고

2만원만큼의 은행 이자를 더 받게 되는거죠.

마치 적금을 드는 것과 같은 효과입니다!

 

 

원천징수세액을 조정하게 되면 신청서를

제출한 이후의 급여부터 반영이 되며 연말까지

유지됩니다.

변경하고 싶다면 다음 해 연말정산 때 다시

조정 신청서를 제출해야 합니다.

 

 

이렇게 소득세 원천징수 세액을 조정하는

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.

 

 

양식 첨부하면서 물러 갑니다.

소득세 원천징수세액 조정신청서(소득세법 시행규칙).pdf
0.04MB

다들 슬기로운 재테크로 부자되는

한 해 되셨으면 좋겠네요!

 

 

앞으로도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겠으며

즐거운 하루 되셨으면 좋겠습니다 😊

 

댓글